국내 ESG 펀드의 ESG 수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 자본시장포커스 | 발간물 | 자본시장연구원
ENG

발간물

자본시장포커스

국내 ESG 펀드의 ESG 수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2020 08/31
국내 ESG 펀드의 ESG 수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2020-19호 PDF
요약
최근 세계적으로 ESG 투자 규모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자산운용업계에서도 ESG 관련 테마펀드를 활발히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ESG 펀드로 분류되어 판매되고 있는 펀드들이 다른 일반 펀드와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국내 주식형 ESG 펀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ESG 펀드 포트폴리오의 평균적인 ESG 수준은 일반 주식형 펀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ESG 펀드 간에도 실제 포트폴리오의 ESG 수준은 상당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ESG 펀드에 대한 투자자 신뢰 저하와 ESG 펀드 시장 위축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국내 금융투자업계는 차별화된 ESG 펀드상품 개발에 힘쓰는 동시에 ESG 펀드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ESG 투자1)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ESG 투자 규모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에 따르면 전 세계 ESG 투자 규모는 2018년 현재 약 30조 6,830억 달러로 2016년 22조 8,380억 달러 대비 34.3% 이상 성장하였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기후변화, 공중보건, 환경보호 등 ESG 이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어 ESG 투자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최근 국내 자산운용업계에서도 ESG 펀드를 활발히 출시하고 있으며, 국내 주식형 ESG 펀드의 순자산 규모는 2020년 7월 기준 3,707억원으로 2017년 동월(1,151억원) 대비 222%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ESG 펀드로 분류되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펀드들이 운용 스타일이나 종목구성 측면에서 다른 일반 주식형 펀드와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2) 투자설명서 상에 ESG 요소를 고려한다고 명시한 펀드들의 상당수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준에 따라 종목을 편입 또는 배제하는지, 편입 종목들의 ESG 성과가 어떠한지 등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아 투자자들 관점에서 이들이 실제로 얼마나 ESG 투자원칙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국내 ESG 펀드 시장 현황 및 ESG 펀드의 운용 실태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국내 ESG 펀드 시장 현황
  

2020년 7월 말 현재 국내 ESG 펀드는 총 41개로 순자산 규모는 4,618억원으로 추정된다. <그림1>은 2004년 이후 신규 설정된 국내 주식형 ESG 펀드 수와 운용자산의 월별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 7월 말 현재 ETF 7개와 액티브펀드 19개가 운용 중으로 이들의 순자산은 각각 671억원, 3,224억원이다. 이 중 16개가 2017년 7월 이후에 신규 설정된 것으로 순자산 규모 또한 2017년 7월 대비 약 270% 증가하며 최근 2~3년 사이 ESG 관련 펀드의 출시가 매우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주식형 ESG 공모펀드에 한정해서 보면, 2005년까지 1개에 불과하였으나 2005년말 이후 ESG 펀드가 본격적으로 출시되면서 시장 규모가 급속히 확대되어 총 순자산액이 2007년 10월 역대 최고치인 2조 9,702억 원을 기록하기도 하였다.3)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공모펀드 시장이 위축되면서 ESG 펀드 시장 규모도 감소세로 전환하였고, 2017년 7월에는 역대 최저치인 1,051억 원까지 하락하였다. 그러다 최근 국내외에서 ESG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시장 규모가 다시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4) 
  
<그림 2>의 운용사별 ESG 펀드 시장 점유율 현황을 보면 2020년 7월 현재 16개사에서 ESG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마이다스, KB, 삼성, 미래에셋, 신한 BNPP 등 상위 5개사의 비중이 약 70% 수준(순자산 기준)으로 시장 집중도가 높은 편이다. 다만 운용사별로 액티브 또는 인덱스 펀드에 집중하거나 액티브와 인덱스 펀드 모두를 운용하는 등 서로 차별화된 상품 조합을 나타내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마이다스, 신한BNPP, 삼성액티브, 이스트스프링, 우리 등은 액티브펀드에, 그리고 삼성은 인덱스 펀드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 외 KB, 미래에셋, 브이아이, 한화 등은 액티브와 인덱스 펀드를 모두 운용하고 있다.
   

   
    
ESG 펀드의 운용 스타일 및 포트폴리오 ESG 수준
 
국내 주식형 액티브펀드에 초점을 두고 ESG 펀드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5) 먼저 <표 1>은 2019년 12월말 ESG 펀드와 일반 국내 주식형 액티브펀드의 포트폴리오 운용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르면 ESG 펀드는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총 자산의 50%이상이 대형 혼합/가치주에 집중되어 있다. 한편, 국내 ESG 펀드는 일반펀드에 비해 평균 순자산 규모가 일반펀드(398억원)의 37.7% 수준으로, 펀드당 평균 구성종목 수도 ESG 펀드의 경우 59개로 일반펀드의 평균 79개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국내 ESG 펀드는 적은 수의 종목을 보유하면서 대형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시장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전형적인 주식형 펀드의 운용스타일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ESG 펀드가 일반펀드에 비해 ESG 수준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 3>은 ESG 펀드와 일반펀드의 ESG 평가등급별 투자금액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평가등급 B+ 이상 종목의 비중은 ESG 펀드가 62.1%, 일반펀드가 58.9%로 ESG 펀드가 3.2%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다만, 세부적으로 보면 가장 높은 평가 등급인 A+ 종목의 비중은 일반펀드가 ESG 펀드보다 좀 더 높고, 평가등급 없음(Null)에 해당하는 종목 비중은 ESG 펀드가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번에는 좀 더 직접적으로 개별 펀드의 포트폴리오 ESG 점수(score)를 산출하여 펀드의 ESG 수준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펀드 ESG 수준 평가 방법론을 최초로 도입한 모닝스타(Morningstar)의 경우, Sustainalytics에서 제공받은 기업 ESG 평가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주식형 펀드들의 포트폴리오 지속가능성 점수(Portfolio Sustainability Score)를 매월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다.6)

<그림 4>의 좌측 패널은 국내 ESG 펀드와 일반주식펀드의 포트폴리오 ESG 점수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이다. ESG 펀드와 일반주식펀드는 대체로 유사한 분포 형태를 보이며 ESG 펀드의 경우 평균 포트폴리오 ESG 점수는 51.71점으로 일반주식펀드 51.47점에 비해 약간 높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7) 한편 <그림 4>의 우측 패널은 ESG 펀드에 한정하여 펀드 간 포트폴리오 ESG 수준을 비교한 결과이다. 각 상자 내의 밴드는 구성종목 ESG 점수의 중간값을, 상자의 길이는 사분위범위수(Interquartile range: IQR)를 나타내는데  펀드별 포트폴리오 ESG 점수는 구성종목의 ESG 점수의 중간값이 높고 IQR가 작을수록 그 값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절반 이상의 ESG 펀드들은 포트폴리오 ESG 점수가 50점 이상으로 ESG 수준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나, 일부 ESG 펀드는 40점 이하의 매우 낮은 점수를 보이며 ESG 펀드 간에도 포트폴리오 ESG 점수가 최대 두 배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ESG 펀드로 분류되어 판매되는 펀드들 간에도 실제 포트폴리오의 ESG수준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시사점
 
이상 국내 ESG 펀드 시장의 현황을 포트폴리오 자산구성 및 ESG 수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액티브 ESG 펀드는 대형 혼합/성장주 위주로 운용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평균적인 ESG 수준은 일반 국내 주식형 액티브펀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물론 이는 ESG 점수가 극히 낮은 일부 ESG 펀드들에 따른 영향도 있는 만큼 ESG 펀드 전반에 문제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 다만 아직 표준화된 ESG 펀드 분류 체계나 공시지침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투자자 입장에서는 현재 제공되는 투자설명서 상의 정보만으로 펀드의 ESG 수준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고,이는 자칫 그린워싱(Green Washing, 위장환경주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ESG 펀드에 대한 공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Eurosif의 SRI 투명성 코드의 사례를 참조할 만하다. Eurosif는 SRI 펀드에 대해서 정식투자설명서와 별개로 투자기업에 대한 ESG 평가방식, 포트폴리오 구성에 ESG 평가 결과가 반영되는 방식, ESG 평가 빈도 및 주요 변경사항, 포트폴리오 사후관리와 통제 등을 추가로 공시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발표하고 있으며, 2018년 현재 유럽 내 전체 SRI 공모펀드 884개 중 800개가 이 코드를 도입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8) 투자자의신뢰 제고와 ESG 펀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자산운용회사를 포함한 국내 금융투자업계는 ESG 투자역량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ESG 펀드상품 개발에 힘쓰는 동시에 ESG 펀드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1) ESG 투자란 투자 의사 결정 시 기업의 재무적 성과 이외에 환경보호, 사회책임, 우수한 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하는 투자를 의미한다.
2) 안상아, 2012, 국내 사회책임투자 (SRI) 현황과 시사점, 기업지배구조리뷰; 중앙일보, 2012. 11. 30, 카지노주까지...‘사회책임’없는 SRI펀드; 아시아투데이, 2014. 1. 5, 사회책임투자(SRI)펀드, 무늬만 ‘착한기업’에 투자?; 한국금융신문, 2017. 7. 10, 국내 SRI펀드...“무늬만 SRI”; 위경우·강윤식, 2019, 펀드의 ESG 수준이 펀드의 성과 및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 2019 재무금융 관련 5개 학회 학술연구발표회자료; 공경신, 2019, 글로벌 ESG 펀드 현황과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포커스 2019-02호.
3) 그러나 2007년 10월 당시 ESG 펀드는 총 7개에 불과하였으며, 더욱이 1개 펀드의 순자산이  2조 7,417억원으로 전체 ESG 펀드순자산액의 대부분(비중으로는 약 92.3%)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규모만을 기준으로 당시 ESG 펀드 시장이 활성화되었다고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4) 2017년 7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최근 3년 동안 ESG 액티브펀드와 인덱스 펀드의 총 운용자산 규모는 각각 1,051억원에서3,051억원(성장률 200%), 100억원에서 656억원(성장률 556%)으로 증가하였다.
5) 분석 시점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평가 결과 발표 시점이 매년 9~10월인 점을 감안하여 2019년 12월말로 설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순자산 10억 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 액티브펀드에 한정하여 에프앤가이드에서 ESG 테마펀드로 분류한 협의의 ESG 펀드 18개와 일반주식형 펀드를 272개를 선정하였다. 이 때 멀티클래스 펀드의 경우 실제로는 하나의 종류형펀드(운용펀드)로 운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운용펀드의 포트폴리오를 대표로 분석하였다.
6) 모닝스타의 포트폴리오 지속가능성 점수는 펀드 포트폴리오 ESG 점수(Portfolio ESG Score)에서 포트폴리오 ESG 분쟁 점수(Portfolio ESG Controversy Score)를 차감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포트폴리오 ESG 점수(Portfolio ESG Score)는 펀드 포트폴리오 기업의 ESG 점수를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으로 가중 평균한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포트폴리오 ESG 점수 산출 절차는Morningstar Sustainability Rating Methodology(Morningstar, 2019)를 참조하기 바란다.
7) ESG 펀드와 일반펀드 평균 ESG 점수 차이의 t값은 –0.11(p-value=0.91)이다.
8) http://www.eurosif.org/transparency-code/